본문 바로가기

회계원리

1.2 기업의 경영활동 & 1.3 재무제표의 소개

1.2 기업의 경영활동

출처 : www.pexels.com

 1. 영업활동(operating activities)

기업이 원재료를 매입하고 노동력을 투입하여 생산된 제품을 고객에게 판매하거나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여 대가를 수취하는 활동

 

 2. 투자활동(investing activities)

영업활동에 사용할 자본재에 투자하거나 투자목적으로 자산을 취득하고 처분하는 활동

 

 3. 재무활동(financing activities)

기업이 영업활동이나 투자활동을 하기 위한 자금을 조달하거나 상환하는 활동

 

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 세 가지는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경영(management)이라는 큰 틀에서 기업을 유지, 발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1.3 재무제표의 소개 

 ◎ 재무제표(financial statements)

      기업의 외부정보이용자에게 기업에 관한 유용한 재무정보를 전달하는 보고서

 

 ◎ 재무제표의 목적

      경제적 의사결정에 유용한 기업의 재무상태, 경영성과 및 재무상태변동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

 

 ◎ 재무제표의 구성요소

    - 재무상태표 : 재무상태에 관한 정보

    - 포괄손익계산서 : 성과에 관한 정보

    - 자본변동표

    - 현금흐름표

    - 주석

 

 ◎  회계기간 : 통상 1년을 기준 (우리나라의 경우, 많은 기업들은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  당기 : 재무제표 작성의 대상이 되는 회계기간

 ◎  전기 : 당기 이전의 회계기간

 ◎  차기 : 당기 다음의 회계기간

 


1. 재무상태표

 1) 재무상태표(statements of financial position 또는 balance sheet)

일정시점(회계기간말) 현재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재무상태, 즉 자산(assets), 부채(liabilities), 자본(owners' equity)을 요약하여 보여주는 보고서

 

 ◎  자산 :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경제적 자원

 

 ◎  부채와 자본 : 각각 채권자와 주주가 청구할 수 있는 권리금액

 

 ◎  재무상태표 등식(balance sheet equation) 

      (자산) = (부채) + (납입자본) + (수익-비용)

     (자산) = (부채) + (자본)

 

(자산)은 재무상태표의 왼쪽; 차변(debit)

기업이 용역이나 재화를 창출하는 데 근본이 되는 자산의 구성과 금액을 나타냄

 

(부채)(자본)은 재무상태표의 오른쪽; 대변(credit)

채권자와 주주로부터 조달한 자금의 구성과 금액을 나타냄

 

 ◎  재무상태표 등식에서 (자본)보다 (부채)를 앞에 놓는 이유

자산에 대한 채권자의 청구권이 주주의 소유권보다 우선하기 때문

(채권자의 청구권) >> (주주의 소유권)

 

  (1) 자산(assets)

과거 사건의 결과로 기업이 통제하고 있고 동시에 미래 경제적 효익을 가져다줄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

예) 현금, 토지, 건물, 매출채권, 특허권, 저작권 등

 

  (2) 부채(liabilities)

과거 사건에 의하여 발생하였으며 경제적 효익을 갖는 자원이 기업으로부터 유출될 것으로 기대되는 현재의 의무

예) 미지급금, 차입금 등

 

  (3) 자본(owners' equity) : (기업의 총 자산) - (총부채) = (순자산(net assets)); 주주의 지분;

채권자들이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부분(채권자 지분)을 제외한 나머지 잔여지분(residual claim)

 

   ◎ 자본등식 : (자본) = (자산) - (부채)

   ◎ 수익등식 : (차년도 자본) = (전년도 자본) + (수익) - (비용)

(당기순) 이익 = (수익) - (비용)
이익잉여금 = (당기순이익) - (배당금)
기말이익잉여금 = (기초이익잉여금) + (당기순이익) - (배당금)  

 


2. 포괄손익계산서(statement of comprehensive income)

일정기간 동안의 수익과 비용을 비교하여 재무성과를 알려주는 보고서

 

 (1) 수익(revenues)

일정기간 동안 기업의 주된 영업활동인 재화의 판매나 용역의 제공 등의 대가로 발생한 경제적 효익의 증가분

예) 매출액, 수수료이익, 이자수익, 배당수익

 

 (2) 비용(expenses)

수익을 획득하기 위해 희생된 경제적 대가

예) 매출원가, 급여, 감가상각비 및 이자비용 등

 

 (3) 포괄이익(comprehensive income)

 ◎ 이익(income, earnings) = (수익) - (비용)

 ◎ 당기순이익(net income) = (총수익) - (총비용)

 ◎ (총수익)<(총비용) ; 당기순손실(net loss) 발생

 ◎  기타포괄손익(other comprehensive income)

       당기순이익(순손실)에 반영하지 못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항목

 

(총포괄손익) = (당기순손익) + (기타포괄손익)

 

 ◎ 포괄손익계산서 등식

(수익) - (비용) = (이익)
(비용) + (이익)  = (수익)
(비용) = (수익) + (손실)

             

 ◎ 포괄손익계산서

(차변) (대변)
비용 수익

 

 ◎  총포괄이익(total comprehensive income)

= (당기순이익) + (기타포괄손익)

= { (수익) - (비용) } + (기타포괄손익)

 


 

3. 자본변동표 (statement of changes in equity)

기업의 회계기간 동안 발생한 소유주지분, 즉 자본의 변동을 종합적으로 보고하는 재무제표

 - 기초의 자본에서 출발하여 기중의 자본의 변동을 거쳐 기말의 자본에 이르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4. 현금흐름표 (statement of cash flow)

기업의 회계기간 동안 발생한 현금의 유입 및 유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기업의 현금창출능력과 현금지급능력, 위험 등을 평가하는 데 유용한 정보입니다.

 

 


 

5. 주석(notes)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그리고 현금흐름표의 항목에 대하여 이용자의 정보수요에 목적적합한 추가정보를 포함합니다.

(1) 재무제표 작성기준 및 중요한 회계정책

(2) 국제회계기준에서 주석공시를 요구하는 사항

(3)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및 자본변동표의 본문에 표시되지 않지만 재무제표를 이해하는 데 목적적합한 정보